1. 추상화추상화라고 하는 것은 객체들의 공통적인 특징(속성 과 기능)을 뽑아내는 것이다.즉, 우리가 구현하는 객체들이 가진 공통적인 데이터와 기능을 도출해 내는 것을 의미한다. 추상화는 절차지향 프로그래밍에서도 있어왔다. 대표적인 것이 구조체와 같은 사용자 데이터형이다.이것은 데이터를 추상화해서 하나의 새로운 데이터 유형을 만드는 것이다. 예를들어 struct와 같은 구조체가 있다.하나의 새로운 데이터형을 정의하는 데 그 안에는 여러개의 부속데이터를 둘 수 있다. 이 때 그 데이터를 추상화를 통해 정의한 것이다. 2. 캡슐화객체지향에서 캡슐화는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을 결합시켜 묶는 것을 말한다.특정 객체가 독립적으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와 기능을 하나로 묶어 관리한다..
■ 1. 메모리를 접근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C 언어 : pointer를 이용해서 메모리에 접근합니다. 하지만 이 pointer를 사용해서 부트영역을 건드린다면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합니다. 자바 : reference를 사용합니다. C언어는 100번지에 직접 물건을 전달하려 하는데 실수로 101번지에 배달하면 오류가 발생하지만 Java는 우체국을 통해 보내서 주소가 다를 경우 수취인 불명으로 반송되는 정도로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2. C 언어 : 관련된 데이터를 하나로 모으기 위해 구조체(Structure)나 공용체(Union)를 사용합니다. 자바 : 클래스(Class) 개념을 사용합니다. ■ 3. 구성 단위 C언어 : acb.c 형태의 소스파일, abc.h 형태의 헤더파일 등 파일 단위..
sort filename \ uniq -c \ sort -nr > newfilename
- Total
- Today
- Yesterday
- couchbase 인덱스
- 카우치베이스 INDEX
- centos port open
- firewalld
- log
- %28
- couchbase index
- centos7 port open
- uriencode %20
- 쿼리
- pig tool
- uriencode %28
- 리눅스 용량
- du depth
- du -h
- 리눅스 port
- %29
- linux port
- uriencode 공백
- uriencode %29
- linux du -h
- uriencode 괄호
- linux port open
- encode 공백
- crontab
- encode 더하기
- 카우치베이스 인덱스
- linux du
- 리눅스 port 열기
- uriencode 더하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